야구 경기가 팽팽하게 진행되는 순간, 심판이 갑자기 경기를 중단시키고 마운드를 향해 "보크(Balk)!"를 선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주자들은 안전하게 한 베이스씩 진루하게 됩니다. 투수에게는 뼈아픈 실책이며, 야구 규칙 중 가장 복잡하고 미묘하여 팬들을 헷갈리게 하는 규정이 바로 보크입니다.
왜 야구에는 이렇게 복잡한 보크 규정이 존재할까요? 그리고 어떤 행동이 보크로 간주될까요? 이 글에서는 보크의 정의와 목적부터, 공식 야구 규칙에 명시된 13가지 주요 보크 유형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여러분의 궁금증을 완벽하게 해결해 드리겠습니다.
1. 보크(Balk)란 무엇인가? 정의와 목적
보크는 주자가 루상에 있을 때, 투수가 규정에 어긋나는 투구 동작이나 주자를 속이려는 기만적인 행위를 했을 때 선언되는 반칙입니다.
(1) 보크 규정의 핵심 목적: 주자 기만행위 방지
보크 규정의 가장 큰 목적은 투수가 부당한 동작으로 주자를 속이거나 혼란스럽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습니다. 투수는 마운드 위에서 경기를 주도하는 위치에 있지만, 투구 동작과 견제 동작을 명확하게 구분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만약 투수가 투구를 할 것처럼 하다가 갑자기 견제를 하거나, 그 반대의 행동을 한다면 주자는 타이밍을 완전히 빼앗겨 주루 플레이에 심각한 불이익을 받게 됩니다. 보크는 이러한 불공정한 이점을 차단하고 공정한 승부를 보장하기 위한 안전장치입니다.
(2) 보크 선언 시 발생하는 결과
심판이 보크를 선언하면 즉시 볼 데드(Ball Dead) 상태가 되며 경기가 일시 중단됩니다.
안전 진루권: 루상에 있던 모든 주자는 안전하게 한 베이스씩 진루합니다. (3루에 주자가 있었다면 득점이 인정됩니다.)
타자 기록: 타자에게는 어떠한 기록 변화(볼카운트 등)도 주어지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참고: 보크는 반드시 주자가 있을 때만 성립합니다. 주자가 없을 때 투수가 반칙 투구를 하면 '부정 투구(Illegal Pitch)'로 간주되어 타자에게 볼(Ball) 하나가 선언됩니다.
2. 보크 이해의 핵심: 세트 포지션(Set Position)과 완전 정지
대부분의 보크는 주자가 있을 때 투수가 취하는 '세트 포지션'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세트 포지션이란 투수가 투수판(Pitcher's Plate)을 밟고, 양손에 공을 모아 몸의 중심부에 멈춘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때 '완전한 정지 동작(Complete Stop)'은 보크 규정의 핵심입니다. 이 정지 동작은 주자가 투수의 다음 행동을 예측하는 기준점이 되며, 이 기준이 흐트러지면 주자를 기만한 것으로 간주되어 보크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3. 보크가 선언되는 13가지 주요 유형 완벽 분석
공식 야구 규칙(Official Baseball Rules 6.02(a))에는 보크에 해당하는 13가지 구체적인 상황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이를 크게 세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A. 투구 동작 관련 위반
투구 동작은 일관되고 중단 없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1) 투구 동작을 시작했다가 중단하는 행위
투수판을 밟고 있는 투수가 투구와 관련된 동작(와인드업 또는 스트레치)을 시작한 후, 투구를 완료하지 않고 도중에 멈추거나 동작을 변경하는 경우입니다. 밸런스를 잃거나 순간적으로 머뭇거리는 동작(Flinch)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2) 세트 포지션에서 완전히 정지하지 않는 행위 (매우 중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보크 유형입니다. 투수는 세트 포지션에서 양손을 모으고 반드시 '완전히' 정지해야 합니다. 몸의 움직임이 완전히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 곧바로 다음 동작으로 이어지면(일명 '롤링 스톱') 보크입니다.
(3) 타자가 준비되기 전 투구 (퀵 피치)
타자가 타석에서 합리적으로 준비 자세를 갖추기 전에 기습적으로 공을 던지는 행위(Quick Pitch)입니다. 이는 타자에 대한 반칙 투구로 간주되며, 주자가 있을 시 보크가 됩니다.
(4) 타자를 정면으로 보지 않고 투구하는 행위
투수는 투구 동작을 시작할 때 반드시 몸과 시선이 홈 플레이트(타자)를 향해야 합니다. 이를 위반하고 투구하면 보크입니다.
B. 견제 및 송구 관련 위반
견제 동작은 투구 동작과 명확히 구분되어야 하며, 기만적인 요소가 없어야 합니다.
(5) 견제 시 베이스를 향해 발을 똑바로 내딛지 않는 행위
투수가 주자가 있는 베이스로 견제구를 던질 때, 자유 발(오른손 투수의 경우 왼발)을 반드시 그 베이스 방향으로 똑바로 내디뎌야(Step directly toward) 합니다. 발을 내딛지 않거나, 다른 방향(예: 홈과 1루 사이)으로 내딛고 공을 던지면 보크입니다.
(6) 베이스를 향해 발을 내디딘 후 공을 던지지 않는 행위
특정 베이스를 향해 자유 발을 명확히 내디뎠다면, 반드시 그 베이스로 송구를 완료해야 합니다. 단, 2루에 대해서는 예외가 적용됩니다.
(7) 1루 또는 3루에 대한 견제 시늉 (Fake Throw)
투수판을 밟고 있는 상태에서 1루나 3루에 공을 던지는 시늉만 하고 실제로 던지지 않는 행위입니다.
중요 예외: 2루에 대한 견제 시늉은 보크가 아닙니다. 2루는 투수가 몸을 완전히 돌려야 하므로 기만성이 낮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8) 주자가 없는 베이스에 송구 또는 시늉
명백한 플레이 상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주자가 없는 빈 베이스에 공을 던지거나 던지는 시늉을 하면 보크입니다. 이는 불필요한 동작으로 다른 주자를 혼란스럽게 한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C. 위치 및 기타 절차 위반
투수의 위치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도 보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9) 투수판 위에서 공을 떨어뜨리는 행위
투수가 투수판을 밟고 있는 상태에서 고의든 실수든 상관없이 공을 손에서 떨어뜨리는 경우, 즉시 보크가 선언됩니다.
(10) 공을 가지지 않고 투수판을 밟거나 걸터앉는 행위
투수가 공을 소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투수판을 밟거나, 투수판 근처에서 투구 동작을 흉내 내는 행위는 주자를 기만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보크입니다.
(11) 투수판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의 투구 동작
투수가 투수판에 정확히 발을 위치시키지 않은 상태(예: 투수판을 가로지르고 걸터앉은 상태)에서 투구 관련 동작을 시작하는 경우입니다.
(12) 세트 포지션 후 부당하게 손을 분리하는 행위
세트 포지션에서 완전 정지 동작을 취한 후, 투구나 견제 동작을 시작하기 전에 이유 없이 양손을 분리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손을 모았다가 다시 풀고 자세를 고쳐잡는 행위 등입니다.
(13) 불필요한 경기 지연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투수가 명백한 이유 없이 경기를 지연시키는 경우, 심판의 재량에 따라 보크가 선언될 수 있습니다. (피치 클락 규정과 별개로 적용 가능)
4. 자주 헷갈리는 상황과 관련 규칙
(1) 왼손 투수의 1루 견제 동작
보크 상황 중 가장 판단하기 어렵고 논란이 되는 것이 바로 왼손 투수의 1루 견제입니다. 왼손 투수는 1루를 마주 보고 있어 견제에 유리하지만, 그만큼 투구 동작과 견제 동작의 구분이 모호해지기 쉽습니다.
핵심 판단 기준은 자유 발(오른발)의 움직임입니다.
합법적인 견제: 오른발을 들어 올린 후, 발이 1루 방향으로 명확하게 내디뎌져야 합니다.
보크 상황: 오른발이 홈플레이트 쪽으로 치우치면서 1루로 공을 던지면 보크입니다. 또한, 오른발이 투수판의 뒤쪽(2루 방향) 경계를 넘어가면 이는 투구 동작의 시작으로 간주되어, 이때 1루로 던지면 보크가 됩니다.
(2) 투수판에서 발을 빼는 방법 (중심발 이탈)
투수가 투구나 견제를 하지 않고 동작을 취소하고 싶을 때는 반드시 중심 발(Pivot foot, 오른손 투수의 오른발)을 투수판 뒤쪽으로 빼야 합니다. 발을 옆이나 앞으로 빼면 안 됩니다.
발을 뒤로 빼는 순간, 투수는 더 이상 '투수'가 아닌 '야수'로 간주됩니다. 이 상태에서는 1루나 3루에 견제 시늉을 하더라도 보크가 아닙니다.
5. 보크 페널티의 예외: 지연된 볼 데드(Delayed Dead Ball)
일반적으로 보크가 선언되면 즉시 볼 데드가 되어야 하지만, 중요한 예외 규정이 있습니다. KBO와 MLB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는 '공격팀 이득 우선 원칙' 또는 '지연된 볼 데드' 규정입니다.
보크 선언에도 불구하고 투수가 공을 던졌고, 그 결과로 발생한 플레이(안타, 홈런, 실책, 사구, 볼넷 등)에 의해 타자를 포함한 모든 주자가 최소 한 베이스 이상 안전하게 진루했을 경우, 보크는 무시되고 해당 플레이 결과가 그대로 인정됩니다.
예를 들어, 보크 상황에서 타자가 홈런을 쳤다면 홈런이 인정됩니다. 하지만 타자가 아웃되거나 주자 중 한 명이라도 진루에 실패했다면, 원래대로 보크가 적용되어 주자들은 한 베이스씩 진루합니다.
6. 결론
보크 규정은 매우 세밀하고 복잡해 보이지만, 그 근본적인 원칙은 '투수는 주자를 속여서는 안 된다'는 단 하나의 명제에서 출발합니다. 투수의 동작 하나하나를 규제하는 것은 야구의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치입니다.
오늘 살펴본 13가지 보크 유형을 이해한다면, 경기 중 보크가 선언되었을 때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투수와 주자 간의 치열한 수 싸움을 더욱 깊이 있게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
0 댓글